Linux
신규 생성한 서버 모니터링 프로젝트를 선택하면 에이전트 설치 화면이 나타납니다. 프로젝트 관리
| 에이전트 설치
메뉴를 통해서도 확인 가능합니다.

패키지 저장소(Repository) 추가
에이전트 설치 페이지에서 위에 위치한 OS 탭에서 서버 OS와 동일한 탭을 클릭합니다.
설치 페이지에 존재하는 “와탭 저장소(Repository)를 추가합니다.” 항목 설명에 따라 설치하고자 하는 서버에 입력합니다.
Debian / Ubuntu
wget http://repo.whatap.io/debian/release.gpg -O -|sudo apt-key add -
wget http://repo.whatap.io/debian/whatap-repo_1.0_all.deb
sudo dpkg -i whatap-repo_1.0_all.deb
sudo apt-get update
CentOS
sudo rpm --import http://repo.whatap.io/centos/release.gpg
sudo rpm -Uvh http://repo.whatap.io/centos/5/noarch/whatap-repo-1.0-1.noarch.rpm
Amazon Linux
sudo rpm --import http://repo.whatap.io/centos/release.gpg
echo "[whatap]" | sudo tee /etc/yum.repos.d/whatap.repo > /dev/null
echo "name=whatap packages for enterprise linux" | sudo tee -a /etc/yum.repos.d/whatap.repo > /dev/null
echo "baseurl=http://repo.whatap.io/centos/latest/\$basearch" | sudo tee -a /etc/yum.repos.d/whatap.repo > /dev/null
echo "enabled=1" | sudo tee -a /etc/yum.repos.d/whatap.repo > /dev/null
echo "gpgcheck=0" | sudo tee -a /etc/yum.repos.d/whatap.repo > /dev/null
SUSE
sudo rpm --import http://repo.whatap.io/suse/release.gpg
echo "[whatap]" | sudo tee /etc/zypp/repos.d/whatap.repo > /dev/null
echo "name=whatap packages for enterprise linux" | sudo tee -a /etc/zypp/repos.d/whatap.repo > /dev/null
echo "baseurl=http://repo.whatap.io/suse/12/x86_64" | sudo tee -a /etc/zypp/repos.d/whatap.repo > /dev/null
echo "enabled=1" | sudo tee -a /etc/zypp/repos.d/whatap.repo > /dev/null
echo "gpgcheck=1" | sudo tee -a /etc/zypp/repos.d/whatap.repo > /dev/null
sudo zypper refresh
FreeBSD
wget http://repo.whatap.io/freebsd/10/whatap-infra.txz
CentOS
sudo rpm --import http://repo.whatap.io/centos/release.gpg
sudo rpm -Uvh http://repo.whatap.io/centos/python/5/noarch/whatap-repo-1.0-1.noarch.rpm
모니터 패키지 설치
설치 페이지에 존재하는 “서버 모니터 패키지를 설치하십시오.” 항목 설명에 따라 설치하고자 하는 서버에 입력합니다.
- Debian / Ubuntu
-
sudo apt-get install whatap-infra
- CentOS / Amazon Linux / XenServer
-
sudo yum install whatap-infra
- SUSE
-
sudo zypper install whatap-infra
- FreeBSD
-
pkg install whatap-infra.txz
라이센스 등록
설치 페이지에 존재하는 “설정 스크립트를 실행하여 서버 모니터 데몬을 시작하십시오.” 밑에 있는 박스를 클릭하여 라이선스를 발급받습니다. 이후 생성되는 명령어를 copy 버튼을 눌러 복사하거나 아래의 명령어에 라이선스키와 서버 IP를 추가하여 설치하고자 하는 서버에 입력합니다.
echo "license=[발급된 라이선스키]" |sudo tee /usr/whatap/infra/conf/whatap.conf
echo "whatap.server.host=[할당된 와탭 서버 IP]" |sudo tee -a /usr/whatap/infra/conf/whatap.conf
echo "createdtime=`date +%s%N`" |sudo tee -a /usr/whatap/infra/conf/whatap.conf
sudo service whatap-infra restart
-
설치 페이지에서 발급받은 명령어에는 라이센스 키와 IP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에이전트 → 수집 서버로 TCP 6600 포트 접근이 가능해야 합니다. (TCP 아웃바운드)
설치 점검
에이전트가 정상적으로 설치된 경우 아래와 같은 로그 출력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connected 문구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 접속 실패로 방화벽 설정을 포함하여 네트워크 설정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설정이 반영되면 에이전트는 자동 접속됩니다.
- Debian / Ubuntu / SUSE
-
tail -10 /var/log/syslog ... Apr 8 16:28:08 localhost systemd[1]: Started LSB: Start whatap-infra daemon. Apr 8 16:28:08 localhost whatap_infrad[32468]: 2019/04/08 16:28:08 Config file : /usr/whatap/infra/conf/whatap.conf Apr 8 16:28:08 localhost whatap_infrad[32468]: 2019/04/08 16:28:08 OID: 1193741647 ONAME: localhost Apr 8 16:28:08 localhost whatap_infrad[32468]: 2019/04/08 16:28:08 connected to {whatap ip}:{whatap port}
- CentOS / Amazon Linux / FreeBSD
-
tail -10 /var/log/messages ... Apr 8 16:28:08 localhost systemd[1]: Started LSB: Start whatap-infra daemon. Apr 8 16:28:08 localhost whatap_infrad[32468]: 2019/04/08 16:28:08 Config file : /usr/whatap/infra/conf/whatap.conf Apr 8 16:28:08 localhost whatap_infrad[32468]: 2019/04/08 16:28:08 OID: 1193741647 ONAME: localhost Apr 8 16:28:08 localhost whatap_infrad[32468]: 2019/04/08 16:28:08 connected to {whatap ip}:{whatap 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