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vice 1.5.0
1.5.9
1.5.7
1.5.6
2019-09-11
애플리케이션 모니터링
프로젝트 대시보드 > 액티브 트랜잭션 모달
-
프로젝트 대시보드의 원형 액티브 트랜잭션 차트를 클릭하면 액티브 트랜잭션 모달이 나타납니다.
-
차트에서 선택한 에이전트를 조회하며 조금 더 간편하게 액티브 트랜잭션을 조회합니다.
-
새 창 열기를 통해 모달이 아닌 페이지로 전환하여 데이터를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액티브 트랜잭션 모달은 아래 형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Figure 11. Active Transaction Modal
-
토폴로지 > 애플리케이션, 그룹, 인스턴스, Integration > 통합 토폴로지
-
평균응답시간, 에러 건수 기반 강조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Figure 12. Emphasis Rule -
화면 상단의 응답시간(밀리초) 지정을 통해 호출 관계의 평균 응답 시간 임계치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
임계 시간을 초과한 호출의 경우, 호출 링크를 적색으로 강조하여 표시합니다.
Figure 13. Link Emphasis -
화면 상단의 에러 건수 지정을 통해 호출 관계의 에러 건수 임계치 및 피호출 노드의 에러 건수 임계치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
임계 에러 건수를 초과한 호출의 경우, 호출 링크를 적색으로 강조하여 표시합니다.
-
특정 노드의 피호출 에러 건수가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노드 외곽에 적색 링을 추가하여 강조 표시합니다.
Figure 14. Node Emphasis -
노드와 호출이 모두 강조된 이미지는 아래와 같습니다.
Figure 15. Node & Link Emphasis
서버 모니터링
큐브(Beta) 메뉴 추가
-
분석 > 큐브 Beta
-
서버 분석을 위한 메트릭스셋를 제공합니다.
Figure 16. Server Cube-
기능 요약
-
제공 메트릭스셋: 요약, CPU, 메모리 디스크 네트워크
-
서버 필터링 (복수 선택 가능)
-
차트 위젯의 차트유형 선택 기능 : 개별서버-시리즈 / Top10-막대*
-
차트 레이아웃 편집 기능 : 위젯 확대/축소, 위치 변경 및 상태 저장
-
-
이용 방법
-
큐브 캘린더 선택
날짜 선택 > 큐브 구성 지표 선택 > 시간 순으로 정렬된 히트맵 차트-
용도 : 사용자의 관심 지표를 기준으로 이상 트랜잭션이 발생한 시간대을 빠르게 식별하여 상세분석 화면으로 연동하기 위한 기능.
-
사용법 : 히트맵 상의 큐브 마우스 클릭 또는 키보드 방향키 이용
-
-
애플리케이션 선택
-
애플리케이션 이름을 클릭하여 큐브 차트 상의 데이터를 필터링할 수 있습니다.
-
애플리케이션이 비활성 상태인 경우 표시된 애플리케이션 이름의 밝기가 어둡게 표시됩니다.
-
우측 핀 아이콘을 클릭하여 전체 선택/활성 애플리케이션 선택 등 부가 기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
-
차트 위젯
-
차트 위젯 레이아웃 변경
-
제목을 클릭, 드래그 하여 화면 상에서 이동이 가능합니다.
-
위젯 하단 크기 변경 아이콘을 클릭, 드래그 하여 위젯크기 변경이 가능합니다.
-
-
-
-
1.5.5
2019-09-02
애플리케이션 모니터링
트랜잭션 검색 및 멀티 서버 트랜잭션 추적
-
트랜잭션 검색에서 CSV 다운로드 기능을 적용했습니다.
-
멀티 서버 트랜잭션 추적 기능이 새롭게 리뉴얼되었습니다.
-
트랜잭션 목록의 검색버튼 옆에 CSV 데이터 다운로드 버튼이 추가되었고 트랜잭션 상세내용에 간략하게 파악할 수 있는 Tree View가 추가되었습니다.
Figure 18. Transaction Search -
멀티 트랜잭션 버튼을 클릭하면 멀티 서버 트랜잭션 추적 모달이 나타납니다.
Figure 19. MSTT Modal -
테이블 뷰를 클릭하여 관련한 트랜잭션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선택된 프로젝트 중 관련된 프로젝트를 확인 및 제외하여 리스트화 할 수 있습니다.
Figure 20. Table View -
새 창으로 열기를 클릭하여 큰 페이지로 이동하여 트랜잭션을 편리하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Figure 21. New Window
-
서버 모니터링
서버 목록
-
서버 목록 화면에 서버별 디스크 필터링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
서버목록 상단에서 아래 모양의 버튼을 클릭하여 필터링 모드로 전환합니다.
Figure 24. Server List -
서버 목록 상에 서버에 포함된 디스크 디바이스명이 표시됩니다. (아래 초록색 버튼 모양)
Figure 25. Server List Filter -
디바이스명을 클릭하여 서버 목록 상에 해당 디바이스를 숨김/표시 할 수 있습니다. 숨김 처리된 디스크 디바이스는 회색 음영 표시 및 아이콘으로 구분합니다. (오른쪽)
Figure 26. Server List Disk Filter
-
1.5.4
2019-08-26
통합 모니터링
통합 대시보드
-
통합 대시보드(V2)에 이벤트 목록 위젯을 추가하였습니다.
Figure 31. Event List
이벤트 목록 위젯 기능
-
이벤트 목록 위젯은 최근 1시간 동안 발생한 이벤트를 표시하며 15초 간격으로 업데이트됩니다.
-
이벤트는 경고 수준을 구분하여 위험도가 높은 이벤트가 상위 표시되며 이후 발생 시간 순으로 정렬합니다.
Figure 32. Widget(1)Figure 33. Widget(2) -
그룹화한 이벤트의 경고 수준별 이벤트 개수를 표시합니다.
Figure 34. Widget(3) -
이벤트 그룹화 옵션 선택 기능입니다. 최근 1시간 동안 발생한 전체 이벤트 대상으로 선택 기준을 적용하여 그룹화하며, 해당 그룹에서 가장 최근 발생한 이벤트를 목록에 표시합니다. 마우스 호버 시 해당 그룹에 속한 전체 이벤트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벤트제목별
이벤트 제목이란 'FATAL_HIGH_CPU’와 같이, 이벤트 규칙에 의해 부여받은 고유의 이벤트 이름을 의미합니다. 해당 설정을 적용할 경우 이벤트 제목을 기준으로 그룹화하며, 다양한 이벤트 규칙에 의해 발생한 이벤트를 모니터링하기에 용이합니다.
프로젝트별
프로젝트별 가장 최근 발생한 이벤트를 확인하기에 용이합니다.
애플리케이션
애플리케이션별 가장 최근 발생한 이벤트를 확인하기에 용이합니다. -
이벤트 목록 위젯은 15초 주기로 데이터를 조회하여 화면을 갱신합니다. 이때 그룹화한 이벤트 중에서 변경사항이 발생할 경우 아래 이미지와 같이 배경색을 칠하여 깜빡입니다.
Figure 35. Widget(4)
이벤트 목록 위젯 추가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대시보드 상단 위젯 추가 버튼을 클릭하여 위젯 생성 창을 엽니다.
Figure 36. Event ListFigure 37. Create Widget(1/4) -
위젯 유형 중 이벤트 목록 아이콘을 선택한 후 다음으로 이동합니다.
Figure 38. Create Widget(2/4) -
프로젝트 선택를 선택한 후 다음으로 이동합니다. 모든 제품 종류에 대해 복수 개의 프로젝트를 선택하여 위젯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Figure 39. Create Widget(3/4) -
데이터 유형 단계에서 지금까지 선택한 프로젝트를 확인 한 후 완료버튼을 클릭하시면 이벤트 목록 위젯 생성이 완료됩니다.
Figure 40. Create Widget(4/4)
이벤트 ( 알림 )
MMS 다량 발송 제한
-
MMS 알림이 무의미하게 반복되는 케이스를 방지하기 위해, 프로젝트 별 일간 MMS 발송량에 따라 MMS 발송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해당 기능은 사용자가 해제하기 이전까지는 MMS 재수신이 불가능 합니다.
-
[ 이벤트 > 이벤트 수신 설정 ] 페이지에서 차단 상태를 해제할 수 있습니다.
Figure 41. MMS Unblock Menu -
MMS 수신이 제한될 경우 관련 알림을 제공 받으실 수 있으십니다.
알림 메세지는 수신 설정되어있는 모든 알림에 제공됩니다.Figure 42. MMS Block Alert
MMS 일간 발송량을 확인할 수 있는 페이지는 추후 등록될 예정입니다. |
애플리케이션 모니터링
통계 > 클라이언트 IP
-
IP 클래스별로 보기 기능을 기존에는 차트만 토글 가능하도록 기능을 제공하였으나, IP 목록 정보도 같이 토글하여 제공하도록 개선하였습니다.
Figure 44. Country and City Count -
IP 클래스별로 보기 버튼 클릭 시, 좌측 다이어그램에 IP 클래스별 비중을 표시합니다.
Figure 45. IP Class Count Diagram -
IP 클래스별로 보기 버튼 클릭 시, 우측 테이블에 클래스별 합산 건수를 표시합니다.
클래스별 합산 건수는 화면상에 로딩된 데이터의 산술합을 제공하며, CSV 다운로드 기능에는 제공되지 않습니다. Figure 46. IP Class Count Table
스택 > 탑 스택
-
탑 스택 자동 펼침 기능을 복원하였습니다. 탑 스택 목록을 클릭하면 하위 스택 중 최상위 스택이 5단계 펼쳐집니다.
Figure 47. TopStack Auto Expand
히트맵 또는 트랜잭션 검색 > 트랜잭션 목록 > 트랜잭션 프로파일
-
트랜잭션 프로파일 URL 링크 복사 기능을 추가하였습니다.
사용자가 조회한 트랜잭션 프로파일 화면을 URL 링크 형태로 다른 사용자 또는 와탭 서포트와 공유할 수 있습니다.
Figure 48. Copy Link트랜잭션 프로파일은 트랜잭션이 수행되는 과정중이 스텝들을 추적하는 것입니다. 트랜잭션이 느리거나 오류가 있다면 그 원인을 추적하기 위해서 수행 이력을 스텝별로 추적할 필요가 있는데 이것을 트랜잭션 프로파일링이라고 합니다. Figure 49. TX Profile
프로젝트 대시보드 > 액티브 트랜잭션
-
프로젝트 대시보드의 액티브 트랜잭션의 이동이나 차트의 부채꼴을 클릭하면 액티브 트랜잭션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차트의 경우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서 이동됩니다.)
Figure 50. Go Active Tx -
어플리케이션 서버 목록에서 선택하면 액티브 트랜잭션 리스트가 나옵니다.
-
트랜잭션을 선택하면, 쓰레드가 실행중인 경우에는 트랜잭션의 정보를, 종료되었다면 프로파일 정보를 찾을 수 있습니다.
Figure 51. Active Tx Select Application -
트랜잭션 정보에서는 쓰레드를 강제로 종료시킬 수 있습니다.
Figure 52. Active Tx Select Running Tx -
종료된 트랜잭션을 조회했다면, 프로파일 보기를 클릭하여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Figure 53. Active Tx Select Ended Tx 1 -
프로파일 정보에서는 이전에 호출한 프로파일의 정보를 그대로 받을 수 있습니다.
Figure 54. Active Tx Select Ended Tx 2
1.5.3
2019-08-19
신규 기능 추가
애플리케이션 모니터링
서버 > 설정 탭
-
설정 키 검색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Figure 56. Keyword Searching-
서버 선택 후 우측 상단 검색창에 찾고자하는 설정키를 입력하시면 해당 설정정보를 필터링하여 화면에 표시합니다.
-
설정이 완료된 설정 키 이름의 경우에는 검색 조건과 일치하는 경우 하이라이트하여 나타냅니다.
-
1.5.2
2019-08-12
신규 기능 추가
애플리케이션 모니터링
분석 > 카운터
-
차트 이미지 내보내기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
카운터 위젯 생성 후, 우측 상단의 이미지 내보내기 아이콘을 클릭하여 해당 위젯을 이미지 파일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Figure 62. Counter Widget Capture
-
-
복수 메트릭 일괄 추가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
카운터 페이지 화면 상단 '카운터' 선택란에서 카운터 그룹 항목을 선택하고 검색버튼을 누르면 해당 그룹에 속한 하위 메트릭 전체가 위젯으로 생성됩니다.
Figure 63. To select counter group metrics:
-
대시보드 > 히트맵 드래그 > 트랜잭션 목록
-
에러만 선택하기 기능을 개선하였습니다.
-
기존에 에러만을 클릭했을 때, 히트맵만 바뀌고 서버 목록 및 트랜잭션 목록이 바로 바뀌지 않는 현상을 개선하였습니다.
-
에러만 클릭 시, 서버 목록에는 에러 트랜잭션이 발생한 서버 목록만을 표시하며, 트랜잭션 목록에도 바로 필터링이 적용됩니다.
-


서버 - V2 Release
-
이전 버전의 화면으로 전환 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고, 구 버전의 메뉴를 제거하였습니다.
Figure 66. Server -
서버를 선택한 이후 왼쪽의 서버 목록을 접을 수 있습니다.
-
서버 V2에 Java - 쓰로틀링 기능이 이전 되었습니다.
Figure 67. Server - Throttling Configuration-
후보 URL의 오른쪽 검색버튼을 클릭시 아래에 호출된 URL 목록을 통해 Throttle URL을 설정하실 수 있습니다.
-
PHP - 에이전트 상태
Figure 68. Server - Agent Status -
PHP, Python, Nodejs - 모듈 의존성
Figure 69. Server - Module Dependancy
-
-
1.5.1
2019-08-05
신규 기능 추가
애플리케이션 모니터링
큐브 메뉴 화면 개편
-
기능 요약
-
요약, 서비스, 자원 분석을 위한 데이터세트 탭 기능
-
애플리케이션(복수 선택 가능) 및 에이전트 종류별, 에이전트 노드별 큐브 조회 기능
-
차트 위젯의 차트유형 선택 기능 : 데이터병합-시리즈 / 개별애플리케이션-시리즈 / 상위애플리케이션-막대
-
차트 레이아웃 편집 기능 : 위젯 확대/축소, 위치 변경 및 상태 저장
-
신규 큐브 화면 구성

-
데이터세트 탭
-
Overview : 애플리케이션 분석 개요
-
Service : 트랜잭션 서비스 관련 지표
-
Resource : 애플리케이션 및 시스템 자원 관련 지표
-
탭 | 위젯 구성 |
---|---|
Overview |
히트맵, 국가별 트랜잭션(전체 애플리케이션 선택 시), DB Pool 수(개별 애플리케이션 선택 시), TPS, 인스턴스 응답시간, 사용자 수, CPU, Heap 사용량 |
Service |
TPS, 인스턴스 응답시간, TX Error 건수, HTTPC 시간, HTTPC 건수, HTTPC 에러 건수, 정상 액티브 TX 건수, 느린 액티브 TX 건수, 매우 느린 액티브 TX 건수, SQL 시간, SQL 건수, SQL 에러 건수 |
Resource |
CPU, CPU System 사용률, CPU User 사용률, CPU Wait 사용률, CPU Steal 사용률, Process CPU 사용률, Heap 크기, Heap 사용량, Heap Perm 사용량, Thread 수, GC건수, GC 시간 |
2.큐브 캘린더 - 날짜 선택 > 큐브 구성 지표 선택 > 시간 순으로 정렬된 히트맵 차트 용도 : 사용자의 관심 지표를 기준으로 이상 트랜잭션이 발생한 시간대을 빠르게 식별하여 상세분석 화면으로 연동하기 위한 기능. 사용법 : 히트맵 상의 큐브 마우스 클릭 또는 키보드 방향키 이용

3.애플리케이션 선택 - 애플리케이션 이름을 클릭하여 큐브 차트 상의 데이터를 필터링할 수 있습니다. - 우측 드롭다운 버튼을 클릭하여 에이전트/에이전트 종류/에이전트 노드 옵션을 이용해 선택 목록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 애플리케이션이 비활성 상태인 경우 표시된 애플리케이션 이름의 밝기가 어둡게 표시됩니다. - 우측 핀 아이콘을 클릭하여 전체 선택/활성 애플리케이션 선택 등 부가 기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4.차트 위젯 - 차트 위젯 레이아웃 변경 제목을 클릭, 드래그 하여 화면 상에서 이동이 가능합니다. 위젯 하단 크기 변경 아이콘을 클릭, 드래그 하여 위젯크기 변경이 가능합니다.


-
차트 유형 변경
-
위젯 좌측 상단의 아이콘을 클릭하여 차트 유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

-
제공하는 차트 유형
-
데이터 병합 - 시리즈 차트
-
개별 애플리케이션 - 멀티 시리즈 차트
-
상위 애플리케이션 - 막대차트
-


서버 설정 V2
-
기존 서버설정에서 지원하는 기능들 중 핵심기능들을 구현했습니다.

-
칼럼선택
-
칼럼을 선택해 보여줄 칼럼을 선택합니다. 아래 칼럼선택에서 자세한것을 확인해주세요.
-
-
상위메뉴 3가지
-
모든 비활성화 에이전트 삭제
-
아래 비활성화 에이전트를 전부 삭제합니다.
-
-
비활성 에이전트 삭제 시간
-
서버에서 비활성 상태로 설정된 지난 경우 에이전트를 삭제합니다.
-
-
서버 목록 새로고침
-
서버 목록을 다시 불러옵니다.
-
-
-
비활성화 에이전트 삭제
-
개별적으로 비활성화 상태인 에이전트를 제거합니다.
-

-
칼럼선택 상세
-
현재 보고있는 테이블의 칼럼을 선택해서 볼 수 있습니다.
-

-
탭 마다 새로고침
-
탭 이동시 마다 데이터를 새로 불러올 수 있도록 합니다. 체크를 하지 않더라도 초기 데이터는 불러옵니다.
-
-
선택된 서버를 해제
-
선택된 서버를 해제시키며 서버 목록을 다시 확대시킵니다. (이 기능은 파랗게 색칠된 서버 목록을 다시 눌러도 동작합니다.)
-
액티브스택
액티브스택 플로우를 효율적으로 개선했습니다.
-
기존의 액티브스택 페이지를 확인해 보면 각 데이터를 전체 조회하는 것 보다는 부분적으로 끊어서 에러를 찾는것에 초점을 잡는 방향으로 접근방식을 개선했습니다.

-
날짜 선택
-
기존엔 날짜, 시작시간, 기간을 조합하여 시간을 조회하는 방식에서 날짜 하나만 클릭하는 방식으로 트랜잭션을 조회합니다.
-
-
검색
-
선택된 날짜를 기준으로 차트를 조회합니다. 만약 조회한 날짜가 오늘이라면 가장 최근을 기준으로 5분 데이터를 가져오게 됩니다.
-
-
차트 클릭
-
5분 간격의 시간대를 차트를 클릭하여 지정합니다.
-
-
시간 표현
-
클릭한 시간을 표시합니다.
-
-
위 동작을 통해 액티브스택을 조금 더 쉽게 접근하실 수 있습니다.
기타 버그 수정
애플리케이션 모니터링
-
카운터 > 위젯 추가 : 아래로 계속 추가되고 스크롤바가 생기는 경우 자동으로 스크롤됩니다.
-
통계 > SQL > CSV 내보내기 : SQL의 개행을 지워 CSV 텍스트를 깨지지 않도록 수정했습니다.
1.5.0
2019-07-29
신규 기능 추가
통합대시보드 V2 (DashboardV2)
-
대시보드 전체화면 모드 와 위젯 레이아웃 숨기기 기능을 추가하였습니다.

전체화면 모드 클릭 식

-
통합대시보드 위젯의 차트 유형을 추가하였습니다 : Active Transaction 가로 막대 차트
-
애플리케이션 이름을 길게 설정하여 세로형 막대 차트에서 이름을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 유용합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