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리케이션 보고서
일간 애플리케이션 보고서
일간 애플리케이션 보고서는 하루 동안의 애플리케이션 성능을 수치와 차트로 확인할 수 있는 보고서 입니다.
시작일, 시작시간, 종료시간을 직접 설정하여 조회할 수 있습니다.
개요

개요에서 선택한 조회 기간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개략적으로 볼 수 있습니다.
피크타임 성능요약에서는 하루 동안 처리량이 가장 높았던 시간과 그 시간대의 지표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방문자 (Daily Active User)
-
선택한 조회 기간 동안 접속한 사용자 수
- 요청
-
조회 기간동안 들어온 트랜잭션의 수
- 에러비율
-
에러건수 ÷ 트랜잭션 건수
- 치명적 이벤트
-
조회 기간동안 발생된 메트릭스 이벤트 중 레벨이 critical 인 이벤트의 수
- 애플리케이션 서버
-
조회 기간동안 모니터링한 애플리케이션 수(= 에이전트 수)
- CPU 코어
-
조회 기간동안의 CPU 코어 수
- APDEX*100 (Application Performance Index)
-
조회 기간 동안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고객 성능 만족도
- 처리량 (TPS, Transaction Per Second)
-
초당 처리된 트랜잭션의 수를 의미하며, 서비스 성능 지표의 기준이 됩니다.
성능추이차트

성능추이차트를 통해 주요 지표들을 시각화하여 볼 수 있습니다.
성능추이차트에서 볼 수 있는 지표로는 방문자 수, 시간당 방문자 수, 처리량(TPS), 평균응답시간, CPU 사용률, 힙 사용량, 에러건수, 일간 트랜잭션 분포도가 있습니다.
각 그래프에서는 해당 지표가 가장 높았던 시간과 수치를 함께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차트 우측 상단의 CSV 버튼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엑셀 파일로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

일간 트랜잭션 분포도에서는 시간대별 트랜잭션 분포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래프의 x축은 각 트랜잭션의 종료시간, y축은 응답시간(초)을 의미합니다.
정상 트랜잭션의 경우 파란색으로 표시되고, 에러가 발생한 경우 빨간색으로 표시됩니다.
탑스택 TOP 10

Stack Trace 상의 Step을 기준으로 Step 간의 호출 빈도를 비율로 계산한 정보를 간소화하여 볼 수 있습니다.
분석 > 스택 > 탑스택 페이지에서 Stack 상세 내용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SQL 평균응답시간 TOP 10

조회 기간동안 사용된 SQL 쿼리문에 대해 평균 응답시간을 기준으로 정렬한 통계 정보입니다.
통계/보고서 > 통계 > SQL 페이지에서 각 쿼리의 발생 시간 및 성능을 상세 조회할 수 있습니다.
* 증가% 조회 3일 전 부터 조회 전일 까지 3일 간의 데이터를 평균낸 값과 조회 당일 데이터를 비교하여 증가한 비율을 계산한 수치입니다. (예) 4월 25일 00시 00분 ~ 23시 59분 데이터 조회 → 4월 22일 00시 00분 ~ 4월 24일 23시 59분 데이터와 비교 해당 수치가 10% 이상인 경우 붉은색으로, 5%~10% 사이인 경우 주황색으로 표시됩니다. 5% 미만의 증가율은 표시하지 않습니다. |
주간 애플리케이션 보고서
주간 애플리케이션 보고서는 일주일간 애플리케이션 성능을 수치와 차트로 확인할 수 있는 보고서 입니다.
시작일을 직접 설정할 수 있으며, 조회 당일 기준 7일 전부터 조회 가능합니다.
개요

개요에서 주간 총 방문자 수와 트랜잭션 건수, APDEX*100 수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주간 총 방문자 수(Weekly Active User)
-
일주일 간 접속한 사용자 수
- 주간 트랜잭션 건수
-
일주일 간 들어온 요청이 처리되어 응답이 반환된 수
- APDEX*100
-
조회 기간 동안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고객 성능 만족도
가동률

모니터링 대상별 가동률을 일자별로 확인할 수 있으며, 주간 평균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가 없으면 - 로 표시되며, 데이터는 있으나 그 값이 작은 경우 0 으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
성능추이차트

주간 애플리케이션 보고서의 차트에는 방문자 수, APDEX*100, 실시간 사용자, 트랜잭션 수, 응답시간, 처리량, 액티브 트랜잭션, CPU 사용률, Heap 사용량이 있습니다.
차트의 x축은 날짜, y축은 지표의 수치를 나타내며, 주간 데이터 중 지표 값이 가장 높았던 날짜와 그 값을 그래프 위의 텍스트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래프 아래의 표에서는 일자별 평균값, 최대값, 주간 평균값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차트 우측 상단의 CSV 버튼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엑셀 파일로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
트랜잭션 TOP 10 비교
트랜잭션 TOP 10 비교에서는 시작일을 기준으로 일주일 간의 데이터와 그 전 주의 데이터를 비교해볼 수 있습니다.
각 트랜잭션에 대한 상세 정보 조회를 원하는 경우 통계/보고서 > 통계 > 트랜잭션 메뉴에서 조회해보실 수 있습니다.
예) 시작일이 4월 22일인 경우 조회 주 : 4월 22일 00시 00분 ~ 4월 28일 23시 59분 일주일 전 : 4월 15일 00시 00분 ~ 4월 21일 23시 59분 |
1. 트랜잭션 수

일주일 간 들어온 트랜잭션을 트랜잭션 수를 기준으로 내림차순 정렬한 결과입니다.
트랜잭션 수란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들어온 요청이 처리되어 응답이 반환된 수를 의미합니다.
일주일 간 어떤 서비스(URL)가 가장 활발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가 됩니다.
증감건은 조회 주와 조회 전주의 트랜잭션 수를 비교한 수치이며, 증감율은 이를 백분율로 계산한 수치입니다.
탑스택 TOP 10 비교

Stack Trace 상의 Step을 기준으로 Step 간의 호출 빈도를 비율로 계산한 결과입니다.
해당 스택에 대한 일주일 전 데이터와 조회 주 데이터를 비교해볼 수 있습니다.
증감건은 조회 주와 조회 전 주의 스택 호출 건수를 비교한 수치이며, 증감율은 이를 백분율로 계산한 수치입니다.
SQL 평균 응답시간 TOP 10 비교

SQL 쿼리문에 대해 평균 응답시간을 기준으로 정렬한 결과입니다.
각 쿼리문에 대한 주간 건수 및 평균 시간을 비교해볼 수 있습니다.
증감시간은 조회 주와 조회 전 주의 SQL 처리 평균 시간을 비교한 수치이며, 증감율은 이를 백분율로 계산한 수치입니다.
프로젝트 에러현황(에러메시지 포함)

프로젝트 에러현황에서는 에러 데이터를 주간별로 비교해볼 수 있습니다.
에러가 발생한 클래스와 에러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에러 발생 건수는 에러 클래스와 에러 메시지가 같은 것끼리 합산하여 내림차순 정렬된 결과입니다.
증감건은 조회 주와 조회 전 주의 에러 발생 건수를 비교한 수치이며, 증감율은 이를 백분율로 계산한 수치입니다.
증감율 색상별 의미 파란색 : 증감율이 음수인 경우. 즉, 전 주에 비해 감소하였음을 의미 주황색 : 증감율이 0% 이상 10% 미만인 경우 빨간색 : 증감율이 10% 이상이거나, 전 주에는 없었던 새로운 데이터인 경우 |
월간 애플리케이션 보고서
월간 애플리케이션 보고서는 한 달 동안의 애플리케이션 성능을 수치와 차트로 확인할 수 있는 보고서 입니다.
시작일을 직접 설정할 수 있으며, 조회 당일 기준 30일 전부터 조회 가능합니다.
개요

개요에서 한 달 간의 전체 트랜잭션 건수, 사용자수, 가동률, 애플리케이션 수, 코어 수, Apdex*100 수치를 한 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월간 트랜잭션 건수
-
한 달 동안 들어온 전체 트랜잭션의 수
- 월간 사용자 수(Monthly Active User)
-
한 달 동안 접속한 사용자 수
- 가동률
-
한 달 동안의 각 애플리케이션 가동률을 평균낸 값
- 애플리케이션 수
-
한 달 동안 모니터링한 애플리케이션의 전체 수
- 전체 코어
-
한 달 동안의 CPU 코어 전체 개수
- APDEX*100 (Application Performance Index)
-
조회 기간 동안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고객 성능 만족도
성능추이차트

한 달 간 주요 지표들을 차트로 조회해 볼 수 있습니다.
월간 애플리케이션 보고서에서 차트로 그려지는 지표는 아래와 같습니다.
- 고객 충성도
-
매주 사용하는 유저 중에서 얼마나 많은 유저가 매일 사용하고 있는지를 수치화 시킨 값
- 일간 방문자 수
-
하루동안 접속한 사용자 수를 나타낸 그래프
- 일간 트랜잭션 수
-
하루동안 들어온 트랜잭션 수를 나타낸 그래프
- 시간당 트랜잭션
-
시간당 들어온 트랜잭션 수를 일별로 나타낸 그래프
- 시간당 에러건수
-
시간당 들어온 트랜잭션 에러 수를 일자별로 나타낸 그래프
- 액티브 트랜잭션
-
시간당 들어온 액티브 트랜잭션 수를 일자별로 나타낸 그래프
- 처리량
-
초당 트랜잭션 처리량을 시간별로 계산하여 일자별로 나타낸 그래프
- 시간당 평균 응답시간
-
시간당 들어온 트랜잭션의 평균 응답시간을 일자별로 나타낸 그래프
- 힙 사용량
-
시간당 들어온 자바 Heap 메모리 사용량을 일자별로 나타낸 그래프
- CPU SYS 사용률
-
하루 동안의 CPU SYS 사용량 % 를 일자별로 나타낸 그래프
- 프로세스 CPU 사용률
-
하루 동안 자바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CPU % 를 일자별로 나타낸 그래프
- APDEX*100
-
하루 동안의 고객 만족도를 일자별로 나타낸 그래프
APDEX(Application Performance Index) 계산 방식 응답 속도에 따라 만족, 허용, 불만의 3단계로 분리하여 아래와 같은 계산을 수행 APDEX*100 = (만족한 사용자 수 + (허용 수 * 0.5 / 전체 사용자 수)) * 100 |
차트 우측 상단의 CSV 버튼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엑셀 파일로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
트랜잭션 TOP 10 비교
1. 트랜잭션 수

한 달 동안 들어온 트랜잭션을 트랜잭션 수를 기준으로 내림차순 정렬한 결과입니다.
트랜잭션 수란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들어온 요청이 처리되어 응답이 반환된 수를 의미합니다.
한 달 간 어떤 서비스(URL)가 가장 활발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가 됩니다.
증감건은 조회 당월와 조회 전월의 트랜잭션 수를 비교한 수치이며, 증감율은 이를 백분율로 계산한 수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