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기
필터를 걸어서 저장된 로그를 검색 할 수 있습니다.

로그 검색기 화면
기능
데이터 조회
-
스크롤이 바닥에 닿으면 다음 데이터를 조회하며 한번에 30000개의 로그를 조회합니다.
-
로그 테이블의
timestamp
컬럼 클릭시, 로그 데이터를 시간 역순으로 조회할 수 있습니다.Figure 3. 시간 역순 표시
로그의 content 확인
content란 로그 raw 데이터의 메세지를 의미합니다. |
-
로그 컬럼의 첫번째 줄은 로그의 파싱(parsing)된 key와 value이고 두번째 줄은 로그의 content입니다.
-
테이블의 행마다(로그) 더보기 버튼이 있습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로그의 전체 content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Figure 4. 더보기 버튼 클릭Figure 5. 로그의 전체 content 확인 -
로그의 태그를 클릭시, 복사/검색/제외 검색을 할 수 있는 드롭다운 메뉴가 펼쳐집니다.
Figure 6. 로그의 태그 클릭
필터(filter)
-
타임셀렉터로 시간 범위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
필터 입력창에서 값을 직접 입력하거나, 좌측의 버튼을 클릭하여 필터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
복수개의 필터를 입력할 수 있으며, 필터의 태그가 같은 경우 `OR(||)`로, 그렇지 않은 경우는 `AND(&&)`로 적용됩니다.
Figure 7. 로그 검색기 필터
필터에 값을 입력한 뒤, 입력한 값을 클릭하면 해당값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입력된 필터값 아래에 있는 수식(expression)은 로그 데이터 조회시 적용될 필터 수식 미리보기입니다.

좌측 메뉴에 있는 태그는 카테고리별로 파싱(parsing)된 검색키입니다. 태그를 클릭하여 필터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주황색 태그는 카테고리, 파란색 태그는 검색키를 의미합니다.
**카테고리란,** 로그 구분 명칭, 즉 로그 파일의 폴더명을 의미합니다. **태그란,** 수집된 로그를 검색할 수 있는 검색키를 의미합니다. 로그 설정의 “로그 파서 설정”에서 파싱 로직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아래 이미지에서 , `#Transaction`은 카테고리이고 그 아래있는 태그는 파싱(parsing)된 검색키입니다.

필터 입력시 사용할 수 있는 문법
필터 입력시 사용할 수 있는 문법 목록입니다. 라이브테일, 로그 검색기에서 동일한 문법을 사용합니다.
문법 | 예시 | 설명 |
---|---|---|
include(+) |
+ote-gateway |
ote-gateway를 포함한 것만 필터링 |
exclude(-) |
-ote-gateway |
ote-gateway를 제외한 것만 필터링 |
startWith(*) |
ERROR* |
ERROR로 시작하는 것만 필터링 |
endWith(*) |
*ERROR |
ERROR로 끝나는 것만 필터링 |
테이블 설정
테이블 설정에 대한 메뉴로 라이브테일, 로그 검색기, 로그 탐색기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1)컬럼 추가, 2)테이블 컨텐츠 설정 옵션이 있습니다.

테이블 설정 메뉴
[컬럼 설정] 컬럼 순서 설정
컬럼을 추가하면 컬럼 순서 설정에 해당 컬럼이 추가됩니다. 원하는 컬럼을 드래그하여 컬럼의 순서를 변경합니다.


테이블 컨텐츠 설정
컨텐츠 표시 여부 및 태그 관리 옵션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테이블 컨텐츠 설정
1) 컨텐츠 표시 여부
-
체크된 항목은 테이블에 표시되지 않습니다. 기본으로 content, tag 모두 체크가 되어있으며 두가지 항목 모두 표시합니다.
아래와같이 tag를 해제할 경우, 테이블에서 로그의 tag는 표시되지 않습니다.


2) 태그 관리
-
태그를 추가하면 추가한 순서대로 태그가 표시됩니다. 태그를 드래그하여 순서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
추가한 태그를 비활성화 할경우, 비활성화한 태그는 노출되지 않습니다.

-
태그 추가
